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남쪽의 고을을 낸 샘물 남원 대모천 이야기

기사승인 2017.12.11  03:51:21

공유
default_news_ad1

 

남원 공설 시장 부근에 가면 고샘 골목이 있다.

이 골목에 막걸리 집이 많아 막걸리 골목이라고도 불리지만 그것은 근대이후의 일이고 이곳에 오래된 샘 즉 고샘이 있어서 그렇게 불려져 왔다.

남원 고샘은 남원 사람들의 역사와 함께한다. 고샘은 크기도 했지만 수질과 수량이 남원 도시의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고 남원 사람들은 그 샘물에 남다른 문화적 유전자를 키워냈다.

그 고샘의 원명은 대모천이다.

대모천이란 어머니의 마르지 않은 젖줄이 자식을 길러내듯이 이곳의 샘물이 남원 백성의 삶을 이어주는 큰 어머니 같은 물이 내어 준다는데서 붙여진 이름이었다.

대모천(大母泉)은 남원스타일의 이야기를 가졌다.

지금으로부터 600여 년 전 광한루가 생겨나기 전의 남원에는 대모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지금의 공설 시장 고샘 골목에 커다란 돌이 있었고, 그 돌 밑으로 맑고 달콤한 물이 솟아나는 샘이 있어 사람들은 그 샘을 대모천이라 불렀고 그 바위의 형상이 큰어미 같다는 데서도 대모상의 이름은 사람들에게 각인되었다.

맑고 달콤한 물이 솟아나는 대모천에는 천 년도 더 되는 이야기가 내려오고 있었다.

지금의 이름 고샘(古泉)이 가졌던 오래된 대모천의 이야기는, 정유재란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이름마저도 옛날 샘이라는 고샘으로 바뀌어 버렸다.

조선중기에 제작된 남원의 군사지도에 지금의 지명과 전혀 연관되어지지 않는 것이 하나 보이는데, 그것이 바로 대모상(大母象)이라는 표기이다.

글자대로 풀이 해본다면 큰어머니의 상이라는 말인데, 남원에서 신사임당에 견줄 만한 어머니상을 가진 인물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없으니 이래저래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면 대모천이라는 말이 보인다.

대모천과 관련된 자료는 네 곳에서 보인다.

첫 번째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남원 편에서 보이고, 두 번째는 강희맹의 시에서 보이며, 세 번째는 조경남 장군이 쓴 난중 잡록의 정유년 8월 14일 일기에서 보이고, 네 번째는 조선중기에 제작된 남원 지방의 군사지도에서 보인다.

첫 번째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9권 전라도 남원 도호부(南原都護府)편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원천(源川)은 원천부곡(源川部曲)에 있다. 지리산에서 근원하여 부의 동쪽 선원사(禪院寺) 앞에 이르러서 요천(蓼川)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흘러간다.

대모천(大母泉)은 남원부의 남쪽 4리에 있다.

남원의 작은 고을 48방을 설명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대모천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그 대모천의 위치가 남원 부사가 집무를 보던 용성관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4리에 있었다 하니, 지금의 남원 시내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두 번째 강희맹(姜希孟)의 시에는, “한 구멍 맑고 맑은 돌 밑의 샘이 대모(大母)라 이름 전하기 몇 천 년인고. 자손[雲仍]이 다 변하고 남은 은택만 머무르니, 젖 같은 샘물이 6월 여름 날씨에 맑고도 달더라.” 하였다.

강희맹이 자신의 시에 남원의 대모천을 이야기했을 만큼 대모천은 당시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상대였음이 분명해 보인다.

세 번째 난중 잡록의 정유년 8월 14일 일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8월 14일 적병이 숙성(宿星)ㆍ원천(原川)으로부터 산으로 흩어져 학익진(鶴翼陣)을 벌리고 내려오는데, 잠시도 쉴 사이 없이 성에 와서 사면으로 나누어 에워싸고 토목(土木)의 역사를 전보다 더욱 급하게 서두르며 비운장제(飛雲長梯)를 많이 만들어 성에 오르는 기구로 삼고, 대모천(大毋泉) 모퉁이에다 풀ㆍ짚단ㆍ흙ㆍ돌을 운반하여 참호를 메워 길을 내고 그 밖에도 장대를 가로 매었는데 그것이 거의 백여 보에 이르렀다. (중략)

즉 구례에서 지금의 앞밤터재를 넘어온 왜군의 좌종대는 칠장→덕음봉→율장→대모천→서문 밖으로, 숙성령을 넘은 왜군의 우종대는 방천→선원사→향교 앞→장성교를 거쳐 서문까지를 포위해 버려 남원성이 함락의 지경에 이른 상황을 묘사했다.

조경남 장군의 남원성 전투의 상황을 묘사 한 내용 중에 왜군이 남원성 서문 밖의 대모천을 지나왔다고 하는 것을 보면 대모천은 당시 남원부에서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이름을 가졌던 것임에 틀림이 없어 보인다.

네 번째는 조선중기의 남원 지방 군사지도에 대모상이라는 표기가 보인다.

대모천이 가졌던 이야기의 주인공인 대모라는 노파의 이야기는 이제 사라지고 없으니 남원 스타일로 풀어 낼 수밖에 없고 2011년도의 일이었다.

일제 강점기 호남에 오는 손님은 남원권번에서 음식대접 한다는 남원권번 삼합체인 막걸리, 청포묵, 추어탕도 대모천의 물맛으로 생겨났으니 지금의 고샘은 영원할 마음의 젖줄이다.

 

 

#지리산 이야기#김용근#대모천#고샘

남원뉴스 news@namwonnews.com

<저작권자 © 남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ad34
ad35
ad36
ad38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